건강정보15 관상동맥질환-(4)심부전(Heart failure) 1. 심부전이란 심장의 구조적, 기능적으로 이상이 생겨 심장근육이 펌프기능을 제대로 하지 못하는 상태를 말합니다. 심부전이 생기면 심장의 기능이 점차 감소하여 심박출량을 유지하기 위해 심박동 수는 더욱더 빨라집니다. 그래서 심장은 더 커지며 심장 근육은 비대해집니다. 이러한 심장의 기능이 한계에 이르면 신체의 여러 가지 문제가 발생하게 됩니다. 2. 원인 심부전의 원인은 다양합니다. 가장 흔한 원인이 관상동맥질환입니다. 관상동맥질환은 심장 혈관이 좁아지는 질환으로, 심장에 충분한 혈액을 공급하지 않으면 심근세포가 파괴되고 심장 조직이 딱딱해지는 섬유화가 됩니다. 이렇게 되면 심장 근육이 혈액을 짜주는 펌프 능력에 장애가 생깁니다. 이외의 원인에는 고혈압, 판막 질환, 심근염, 장기간의 빠른 맥박, 지속적.. 2022. 8. 17. 관상동맥질환-(3)심근경색(myocardial infarction) 목차 1. 정의 및 증상 2. 이송시 응급치료 3. 병원에 도착한 후 검사와 진단, 치료 3.1. 진단검사 3.2. 치료 4. 합병증 5. 퇴원 시 처방받는 약물들 1. 정의 및 증상 혈액이 관상동맥 속에서 응고되어 혈전을 형성하고 관상동맥을 완전히 막아버리면 심장발작이 일어납니다. 이 상태를 의학적으로 심근경색이라고 합니다. 갑자기 극심한 흉통이 30분 이상 지속되고 휴식을 취해도 완화되지 않는다면 심근경색증을 의심해야 합니다. 협심증 환자가 니트로글리세린 약을 지니고 있다면 즉시 사용하고 119에 연락합니다. 협심증은 혈류가 완전히 막힌 상태라 아니어서 심장 근육이 아직 손상되기 전이지만, 심근경색은 혈류가 완전히 막힌 상태이므로 심장 근육 손상, 즉 괴사가 시작됩니다. 위의 증상이 나타났는데 약이 .. 2022. 8. 12. 관상동맥질환-(2)협심증(Angina pectoris) 1. 정의 및 증상 협심증이란 운동 시 허혈에 의해 유발되는 흉통입니다. 관상동맥은 심장에 혈액을 공급하는 동맥입니다. 관상동맥질환의 원인은 죽종(작은 지방 덩어리)으로 인해 관상동맥이 막히는 것입니다. 동맥이 죽종으로 점차 좁아지는 현상을 동맥경화라 합니다. 관상동맥이 심하게 막히지 않았을 때는 증상이 없다가 죽종이 점점 커져 혈류가 심하게 줄어들면 심근이 통증을 느낍니다. 이 상태가 협심증입니다. 관상동맥질환으로 혈관 내경이 50% 이상 좁아져서 안정 시에는 괜찮으나 몸을 움직여 심장이 빠르게 힘차게 뛰기 시작하면 산소가 풍부한 혈액을 심근에 충분히 공급해 줄 수 없으므로 쥐어짜는 듯한 통증이 생깁니다. 그래서 협심증은 무거운 물건을 들거나, 오르막길을 올라갈 때 등 운동 시 심한 흉통이 발생합니다... 2022. 8. 11. 관상동맥질환-(1)관상동맥질환이란 목차 1. 개요 2. 증상 3. 심장이 내보내는 위험신호 4. 검사 4.1. 기본검사 4.1.1. 혈액검사 4.1.2. 심전도 4.1.3. 가슴 X-ray 4.2. 정밀검사 4.2.1. 부하검사 4.2.2. 관상동맥 CT 4.2.3. 심장 초음파 4.2.4. 관상동맥 혈관조영술 1. 개요 한국인의 사망원인이 암 다음으로 심장질환입니다. 식습관이 서구화되고 평균 수명이 늘어나면서 심장질환의 사망원인 순위가 높아졌습니다. 이전에는 사망원인 순위가 심장질환이 3위 아래였으나 최근 2위까지 올라왔습니다. 심장질환은 고령이 될수록 늘어나므로 70대 이상이 되면 사망률이 급속도로 증가합니다. 심혈관질환은 크게 고혈압성 질환, 허혈성 심장 질환, 기타 심장질환, 뇌혈관질환, 순환계통 질환으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이.. 2022. 8. 10. 이전 1 2 3 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