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업급여 수급자격 신청 후기 작성해 보았습니다. 수급자격 신청 후기 내용이 길어 포스팅을 나눠서 작성하였습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신청 전 준비 사항인 고용보험 상실 신고서, 이직확인서, 구직등록에 대해 정리해보았습니다.
제가 다니던 회사 매출이 좋지 않아 계약 연장하지 못한 채 계약 만료로 퇴직하게 되었습니다. 직감적으로 계약 연장 못할 것 같아 마음의 준비는 하고 있었습니다. 막상 실업당하고 나니 막막했었는데 다행히 실업급여 수급자격 해당되어 실업급여받아서 큰 도움이 되었습니다.
실업급여 수급자격 신청 절차
실업급여는 실업했다고 아무나 받는 급여가 아닙니다. 고용보험 적용 사업장에서 최종 실직 전 18개월간 피보험기간이 180일 이상이며, 비자발적 사유로 이직 (해고, 권고사직, 계약만료, 정년퇴직 등)하여 적극적으로 재취업을 위한 노력이 가능한 근로자여야 합니다.
실업급여 수급자격 신청 하는 이유도 실업급여 받을 자격 되는지 확인하기 위해서입니다. 먼저, 신청 절차부터 살펴보겠습니다.
실업급여 수급자격 신청절차
① 고용보험 상실 신고서 확인 (근로복지공단 홈페이지)
② 이직확인서 확인 (고용보험 홈페이지)
③ 구직등록(워크넷)
④ 수급자격 신청자 온라인 교육 (고용보험 홈페이지)
⑤ 수급자격 신청서 인터넷 사전 제출 (고용보험 홈페이지)
⑥ 주소 관활 고용센터 방문
수급자격 신청 전 확인 사항
수급자격 신청하기 위해 확인해야 될 사항이 3가지 있습니다. 고용보험 상실 신고서 확인, 이직확인서 확인, 구직등록입니다.
고용보험 상실 신고서 확인
'저 실직했어요~'라는 증빙할 수 있는 서류가 고용보험 상실 신고서입니다.
① 근로복지공단 홈페이지 들어가면 첫 화면에 [고용 산재 보험 토탈 서비스] 클릭합니다.
② 로그인 후 [고용 산재보험 자격 이력 내역서] 클릭합니다.
③ 서류 제출할 필요는 없고 고용보험 상실일만 확인하시면 됩니다. 만약 상실일에 공란으로 되어있다면 아직 고용보험 상실 처리 되지 않았기 때문에 전 직장에 요청해야 됩니다.
이직확인서 확인
이직확인서 통해서 이직사유, 이직일, 피보험단위기간, 일소정근로시간, 평균임금 등 수급자격 요건을 확인할 수 있기 때문에 반드시 이직확인서가 필요합니다.
① 고용보험 홈페이지 로그인합니다. 메인화면에 [이직확인서 처리여부 조회] 클릭하면 이직확인서 이력을 볼 수 있습니다.
② 이직확인서를 제출할 필요는 없고, 처리상태가'처리완료'로 되어 있는지 확인하시면 됩니다. 만약 공란이거나 '반려'로 되어 있다면 전 직장에 요청해야 합니다.
구직등록
'저 재취업 적극적으로 할 수 있어요~'라는 상태를 보여줘야 됩니다. 적극적으로 재취업을 위한 노력이 가능한 사람인지를 판단 기준은 구직등록 여부입니다. 그래서 수급신청 전 구직등록 완료해야 합니다.
① 워크넷 홈페이지 로그인하여 [구직신청관리] 클릭합니다.
② '나의 구직신청정보' 항목을 순차적으로 입력하고, 이력서 작성 후 첨부하여 [구직신청하기] 누르면 됩니다. (자기소개서는 선택 사항)
여기까지 완료하셨다면, 다음은 실업급여 수급자격 신청해 보겠습니다. 신청 후기는 다음 포스팅에서 작성하여 업데이트하겠습니다.
'일상 생활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키보드 음료수 쏟아 뻑뻑해져 서비스센터 수리 한 후기 (0) | 2024.02.26 |
---|---|
여권 발급 신청 우편 등기 수령 후기 (ft. 재발급 신청서 작성, 수령 기간) (0) | 2024.01.25 |
미성년자 자녀 여권 발급 신청 방법 (준비물, 신청서 작성, 발급 수수료 등) (0) | 2024.01.23 |
대한항공 마일리지 사용 방법 (마일리지 몰 KAL스토어) (1) | 2024.01.02 |
대한항공 마일리지 가족 합산 (미성년자 스카이패스 회원 가입, 가족 회원 등록 신청 방법) (2) | 2023.12.26 |
댓글